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2025년 6+6 부모육아휴직제도 급여 지급 안내

육아 Parenting/육아휴직 관련 정보

by 알콩맘 Miyo 2025. 3. 3. 00:17

본문

 

2025년 개편된 6+6 부모육아휴직제도 급여 지급 안내

 

📢 6+6 부모육아휴직제도란?

6+6 부모육아휴직제도는 엄마 아빠가 함께 육아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 입니다. 자녀 출생 후 18개월 이내에 부모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첫 6개월간 각각 통상임금의 100%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
2025년 개편된 육아휴직 급여 정보

2025년 육아휴직 급여는 다음과 같이 지급됩니다:

  • 첫 3개월: 통상임금의 100% (월 최대 250만원, 한부모는 300만원)
  • 4~6개월: 통상임금의 100% (월 최대 200만원)
  • 7개월 이후: 통상임금의 80% (월 최대 160만원)

💡 6+6 부모육아휴직제도 급여 상세 안내

기간 급여 지급 기준 상한액
1개월 차 통상임금의 100% 250만 원
2개월 차 통상임금의 100% 250만 원
3개월 차 통상임금의 100% 300만 원
4개월 차 통상임금의 100% 350만 원
5개월 차 통상임금의 100% 400만 원
6개월 차 통상임금의 100% 450만 원
7개월 이후 통상임금의 80% 160만 원

6+6 부모육아휴직제도 개요

부모가 함께 육아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로, 부모 각각 최초 6개월 동안 더 높은 육아휴직 급여를 지급합니다. 부모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으며, 각자 월차에 따라 급여가 지급됩니다.

육아휴직 급여 비교

일반 육아휴직

기간 급여 지급 기준 상한액
1-3개월차 통상임금의 100% 250만원
4-6개월차 통상임금의 100% 200만원
7개월차 이후 통상임금의 80% 160만원

6+6 육아휴직

기간 급여 지급 기준 상한액
1-2개월차 통상임금의 100% 250만원
3개월차 통상임금의 100% 300만원
4개월차 통상임금의 100% 350만원
5개월차 통상임금의 100% 400만원
6개월차 통상임금의 100% 450만원
7-12개월차 통상임금의 80% 160만원

부부 순차적 6+6 육아휴직 급여 지급 예시

(아빠 1월 2일 시작하여 6개월만 사용, 엄마 7월 2일 시작 가정)

아빠 육아휴직 급여

시기 육아휴직 기간 최초 지급 급여
(일반 육아휴직)
엄마 육아휴직 후 추가 지급 최종 수령액
(6+6 적용)
2월 2일 신청
(1개월차)
1월 통상임금 100%
(최대 250만원)
추가 지급 없음
(이미 상한액)
최대 250만원
3월 2일 신청
(2개월차)
2월 통상임금 100%
(최대 250만원)
추가 지급 없음
(이미 상한액)
최대 250만원
4월 2일 신청
(3개월차)
3월 통상임금 100%
(최대 250만원)
통상임금 100%로 상한액 차이
(최대 50만원)
최대 300만원
5월 2일 신청
(4개월차)
4월 통상임금 100%
(최대 200만원)
통상임금 100%로 상한액 차이
(최대 150만원)
최대 350만원
6월 2일 신청
(5개월차)
5월 통상임금 100%
(최대 200만원)
통상임금 100%로 상한액 차이
(최대 200만원)
최대 400만원
7월 2일 신청
(6개월차)
6월 통상임금 100%
(최대 200만원)
통상임금 100%로 상한액 차이
(최대 250만원)
최대 450만원

엄마 육아휴직 급여

시기 육아휴직 기간 지급 급여
8월 2일 신청
(1개월차)
7월 통상임금 100%
(최대 250만원)
9월 2일 신청
(2개월차)
8월 통상임금 100%
(최대 250만원)
10월 2일 신청
(3개월차)
9월 통상임금 100%
(최대 300만원)
11월 2일 신청
(4개월차)
10월 통상임금 100%
(최대 350만원)
12월 2일 신청
(5개월차)
11월 통상임금 100%
(최대 400만원)
1월 2일 신청
(6개월차)
12월 통상임금 100%
(최대 450만원)
2월 2일 신청
(7개월차)
1월 통상임금 80%
(최대 160만원)

순차적 육아휴직 사용 방식

위 예시는 부부가 연속해서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방식을 보여줍니다. 아빠가 1월부터 6월까지 정확히 6개월간 육아휴직을 사용하고, 바로 이어서 엄마가 7월부터 육아휴직을 시작함으로써 부모 모두 6+6 제도의 혜택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
2025년 개편된 제도에서는 부모 각각의 육아휴직 기간에 대해 독립적으로 급여가 지급되며, 통상임금의 비율과 상한액은 각 부모의 월차에 따라 달라집니다. 아빠가 먼저 육아휴직을 사용한 후 엄마가 육아휴직을 시작하면, 6+6 부모육아휴직제도가 적용되어 아빠의 육아휴직 급여 차액이 소급해서 지급됩니다.

6+6 부모육아휴직제도 주요 특징

  1. 부모 각각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: 육아휴직은 부모 각각 최대 1년 6개월(18개월)까지 사용 가능합니다.
  2. 첫 6개월 동안 높은 급여: 첫 6개월 동안 통상임금의 100%를 지급하며, 상한액은 월차별로 증가합니다(1-2개월 250만원, 3개월 300만원, 4개월 350만원, 5개월 400만원, 6개월 450만원).
  3. 차액 소급 지급: 한 부모가 먼저 육아휴직을 사용하고 나중에 다른 부모가 육아휴직을 사용하면, 첫 번째 사용한 부모의 급여가 소급적용되어 차액이 추가 지급됩니다.
  4. 각자 독립적 월차 계산: 각 부모의 육아휴직 기간은 독립적으로 계산됩니다. 위 예시에서 엄마는 7월부터 시작했으므로 7월이 1개월차가 됩니다.

주의사항

이 내용은 2025년에 개편된 6+6 부모육아휴직제도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실제 적용은 고용노동부의 최종 지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육아휴직 계획을 세우실 때는 고용노동부나 근로복지공단의 공식 안내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📌 6+6 부모육아휴직제도 이후 추가 육아휴직 급여 지급

6+6 부모육아휴직제도의 혜택을 받은 후에도 추가 육아휴직이 가능합니다. 이 경우 급여 지급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7개월 이후부터는 일반 육아휴직 기준 적용
  • 급여는 통상임금의 80% 지급, 상한액은 월 최대 160만 원

🎉 마무리

6+6 육아휴직 제도를 통해 부모가 함께 육아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이 강화되었습니다. 2025년에 개편된 이 제도는 특히 첫 6개월 동안 높은 급여를 보장하며, 월차별로 상한액이 증가하는 특징이 있습니다. 더욱 유연하고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육아휴직을 활용해보세요! 😊

관련글 더보기